DATE2025년 10월 22일~23일
PLACE서울시 광진구 건국대학교 새천년관 대공연장 / 우곡회의장
logo
NEXT COMMERCE X NEXT PROPERTY
hero-text
창의적 돌파, 빈틈없는 레버리지
판매기간: 8/29(금) ~ 10/19(일)
<2025 넥스트 커머스>에서 산업의 성장을 이끄는 리더들의 강연을 통해 트렌드, 인사이트, 실무 전략까지 얻어보세요! 
행사개요
logo-dailytrend-whitelogo-spi-white
리테일 전문 미디어 Dailytrend와 상업용 부동산 전문 미디어 SPI가 공동 주관하는 <2025 넥스트 커머스>는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와 방향을 모색하는 이들과 함께 인사이트를 나누는 기회의 장입니다. 리테일은 더 이상 제품 판매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투자자이자 트레이더, 광고미디어이자 디벨로퍼로 진화하고 있는 리테일러의 현재를 바탕으로 새로운 기회와 생존 방법을 함께 알아봅니다. 

AGENDA

Day 1.
Day of
agenda-accent-day1
<2025 넥스트 커머스> DAY 1은 "브랜드의 날"입니다. 국내 시장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성과를 거든 K브랜드들의 사례는 브랜드의 시대로 접어들었다는 신호와 같습니다. 이에 앞으로의 브랜드 전략은 지난 50년과는 완전히 달라야 할 것입니다. 브랜드가 글로벌 시대에 맞는 디지털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요? 아이코닉한 브랜드를 모시고 브랜드의 본질, 성장동력, 지속가능성, 글로벌 커머스 구축 방법 등 브랜드 전략의 인사이트를 들어봅니다. 
Day 2.
Day of
agenda-accent-day2
<2025 넥스트 커머스> DAY 2는 “레버리지의 날”입니다. 소비가 경험인 시대로 접어들며 판매 중심의 비즈니스 구축을 넘어 재무와 감성 모두에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해졌습니다. 부동산을 판매 터전으로만 인식하기보다 자산으로 점검하고, 개발 여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공간은 머무는 곳으로 규정되고, 유혹과 체류의 미학이 연출되어야 오프라인에서 고객을 담는 그릇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이에 레버리지 경영에서 남다른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기업들을 모시고 부동산 가치 극대화, 데이터 자산 레버리지, 체험 공간의 다양한 연출 해법 등 브랜드의 레버리지 전략 인사이트를 들어봅니다.

SPEAKERS

2일간 진행되는 <2025 넥스트 커머스>는 각 분야의 아이코닉한 리더들과 함께합니다. 15인 이상의 연사들이 경험과 통찰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김소희 대표 사진
김소희
Daily Trend 대표
국내 주요 유통/브랜드 기업 100여개사 및 리테일 Key Person이 구독하는 리테일 전문미디어 데일리트렌드(Dailytrend.co.kr) 운영. 글로벌 트렌드를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고병기 서울프라퍼티인사이트(SPI) 편집장 사진
고병기
서울프라퍼티인사이트(SPI) 편집장
상업용 부동산 전문미디어 SPI의 고병기 편집장은 "리테일 컨버전"을 주제로 업계 전문가들과 함께 패널 토론을 이끌어갑니다. 급변하는 시장에서 상업용 부동산의 미래와 새로운 리테일 공간 전략에 대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나눌 예정입니다.
김성순 부대표 사진
김성순
Cushman & Wakefield 코리아 부대표
상업용 부동산 기획 컨설턴트이자 리테일 투자 자문가. 애플, 블루보틀 등 세계적인 브랜드의 국내 진출을 비롯해 티파니앤코, 반클리프아펠 등의 럭셔리 브랜드와 자라, H&M 등 SPA 브랜드 플래그십 오픈 전략을 지휘했습니다. IFC, 디타워, 성수낙낙 등 복합 상업시설의 기획과 운영 컨설팅에도 참여했습니다.
박지원 오프라인 비즈니스 총괄 사진
박지원
무신사 오프라인 비즈니스 총괄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간의 연결을 통해 신규유입과 전환율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활용해 판매처이자 미디어로 운영중인 무신사의 오프라인 매장 운영 전략을 주도합니다.
김상헌 GS리테일 플랫폼 BU 마케팅 부문 RM 사업팀 팀장 사진
김상헌
GS리테일 플랫폼 BU 마케팅 부문 RM 사업팀 팀장
GS리테일의 ‘리테일미디어’ 비즈니스를 이끕니다. GS리테일 온라인앱과 1만 9천여개 오프라인 매장의 연결을 통해 미디어 기능을 강화한 전략을 나눕니다.
진승현 롯데백화점 MD본부 패션 부문장 상무 사진
진승현
롯데백화점 MD본부 패션 부문장 상무
유통업을 넘어 ‘초리테일’로 나아가는 롯데백화점의 디벨로퍼 전략을 소개합니다. 잠실타운을 강남 대표 도심으로 끌어올린 MD 기획력과 지역 활성화를 위한 리테일러의 새로운 역할과 비전을 제시합니다.
강민정 에스제이그룹 InC 부문 전무 사진
강민정
에스제이그룹 InC 부문 전무
캉골, 헬렌카민스키, 자체 기획 브랜드 LCDC TM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패션 기업 에스제이그룹은 성수동에서 복합문화공간 사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LCDC서울은 성수동의 핫플이 되며, 올해 7월까지 100만명 이상의 방문객이 다녀갔을 정도입니다. 패션기업에서 공간을 운영하는 의미와 비즈니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눕니다.
나세훈 앳홈 디자인&커뮤니케이션 총괄이사 사진
나세훈
앳홈 디자인&커뮤니케이션 총괄이사
'미니가전' 시장을 개척하며 성공 신화를 쓴 앳홈의 브랜딩 철학을 공유합니다. 디자인과 비주얼을 핵심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하고, 제품 개발을 넘어 기업 철학을 담은 지속가능한 브랜드 구축 전략을 이야기합니다.
전재훈 (주)예스비 CEO 사진
전재훈
(주)예스비 CEO
전재훈 대표는 K-브랜드와 글로벌 시장의 비즈니스를 연결하는 전문가입니다. 특히 K-뷰티가 일본 시장에서 온라인 성공을 넘어 안정적인 오프라인 스케일업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과 밀착 파트너십을 제공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 기회를 나눕니다.
계윤숙 설빙 상무 마케팅본부장 CMO 사진
계윤숙
설빙 상무 마케팅본부장 CMO
10년간 꾸준한 사랑을 받으며 매년 역대급 매출을 경신하는 설빙의 성공 비결을 밝힙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F&B 트렌드 속에서도 차별화된 메뉴 개발과 지속가능한 브랜딩의 힘을 알려드립니다.
김재운 연세유업 마케팅 실장 사진
김재운
연세유업 마케팅 실장
60년 이상의 역사 속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로 빛나고 있는 연세유업. 누적 판매량 7700만개를 돌파한 메가 히트 상품인 연세우유 생크림빵 등을 탄생시킨 경험을 바탕으로, 연세유업이 걸어온 60여년의 길과 연세유업이 말하는 브랜딩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송훈석 스타벅스코리아 신규개발팀 파트장 사진
송훈석
스타벅스코리아 신규개발팀 파트장
국내 '라운지' 카페 문화를 정착시킨 스타벅스에서 10여년 점포 개발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디지털 시대에 더욱 중요해진 오프라인 공간의 가치와 브랜딩 전략을 깊이 있게 다루며, '브랜드에 최적화된 상권과 출점 기회를 발견하는 법'을 주제로 성공적인 공간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최재화 번개장터 CEO 사진
최재화
번개장터 CEO
43조 규모로 성장한 리커머스 시장의 선두 주자 번개장터. 빈티지, 팬덤 문화 등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를 담아내며, 글로벌 시장 확장과 더불어 검수 솔루션 ’코어리틱스' 같은 과학적인 기술 혁신으로 신뢰를 구축했습니다. 이 과정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소비의 새로운 장르가 된 중고거래' 세션에서 나눕니다.
홍성훈 (주)엔코스 대표 사진
홍성훈
(주)엔코스 대표
K뷰티 세계화의 숨은 주역으로, 마스크팩 제조에 강점을 가진 화장품 ODM 기업을 이끌고 있습니다. 17년간 국내외 유명 브랜드들의 제품 개발 파트너로 활약하며 기업가치 2천억을 달성한 전문가로서, 데이터에 기반한 시장 인사이트와 K뷰티의 미래 전략을 공유합니다.
권성희 YTN 경영관리본부 국장 사진
권성희
YTN 경영관리본부 국장
YTN N서울타워의 경험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리테일과 디벨로퍼의 경계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개발 시설을 장기 운영하며 지속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미래 상업시설의 방향을 제시합니다.
방교환 (주)트레이딩포스트(워크업) 대표 사진
방교환
(주)트레이딩포스트(워크업) 대표
'남자들의 다이소'라는 별칭을 가진 워크웨어 브랜드 워크업을 운영하며 1호점 오픈 후 1년 반만에 130여 개로 매장을 확장하며 빠르고 강력한 브랜드 확장을 진행중입니다. 생태계의 구심점을 만들고 브랜딩을 구축하는 동력과 관련된 인사이트를 나눕니다.
최인수 마크로밀엠브레인 대표 사진
최인수
마크로밀엠브레인 대표
1998년에 우리나라 온라인리서치 시장을 처음 개척한 마크로밀엠브레인은 180만명의 국내 최대패널을 보유한 국내 리서치 산업의 퍼스트 무버입니다. 리서치 업계 최초 코스닥에 상장한 기업으로, 오랜 기간 구축한 ‘딥데이터’ 및 AI 활용 조사 개발로 해외 진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역량을 가진 리서치 솔루션과 전문가의 노하우를 전합니다.
강성훈 스튜디오랩 대표 사진
강성훈
스튜디오랩 대표
AI 콘텐츠 전문가로 삼성전자 재직 시 의류 분석 AI 솔루션 개발 프로젝트를 주도하며, 가전제품에 적용 가능한 AI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현재는 주식회사 스튜디오랩의 대표로서, AI와 로보틱스 기술을 기반으로 패션·커머스 업계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 중입니다.
한승호 포트원 CSO 사진
한승호
포트원 CSO
단순 결제에서 출발해 커머스 재무 비즈니스로 확장한 기업으로 이커머스의 경쟁력을 위한 통합 결제·재무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커머스 시대에 걸맞는 커머스 재무의 미래를 이야기합니다.
서광덕 씽킹데이터 코리아 지사장 사진
서광덕
씽킹데이터 코리아 지사장
국내 및 동남아에서 게임을 중심으로 이커머스, 리테일 등 다양한 산업에서 데이터 분석과 고객 경험 혁신을 지원해 왔습니다. 최근 개인화 트렌드에 따른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지속 가능한 관계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데이터 기반 개인화가 어떻게 고객 경험의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는 지와 관련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강승혁 웍스아웃 대표 사진
강승혁
웍스아웃 대표
패션멀티숍으로 Carhartt WIP, PALACE, Fucking Awesome, Humanmade 등의 브랜드를 독점 유통사하는 웍스아웃은 한국 스트리트 패션 씬에서 가장 뜨거운 이름 중 하나였습니다. 웍스아웃의 사업 확장에 주력중인 강승혁 대표와 브랜드 성장 시기의 고민을 나눕니다.
유승완 (주)블리몽키즈(마카롱) 대표이사 사진
유승완
(주)블리몽키즈(마카롱) 대표이사
코스알엑스, 조선미녀 등 K뷰티 브랜드를 14억 인구 인도 시장에 유통하며 인도 최대 K뷰티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마카롱의 전략을 바탕으로 치열해지는 일본과 미국 시장을 넘어 제3의 시장에서 목격한 K뷰티의 기회와 노하우를 전합니다.

PROGRAM

Day of
program-accent
10월 22일
  • 9:30 - 10:00keynote
    브랜드 시대: 빠르게 성장할 것인가, 단단하게 성장할 것인가
    • 김소희Daily Trend 대표
  • 10:00 - 10:25Session 1
    가성비 소비 시대의 브랜딩: 워크업의 이야기
    • 방교환㈜트레이딩포스트(워크업) 대표
  • 10:25 - 10:50Session 2
    K뷰티의 미래: 글로벌 뷰티와 경쟁하는 법
    • 홍성훈(주)엔코스 대표
  • 10:50 - 11:10Tech Talk 1
    AI와 로보틱스 기반의 커머스 콘텐츠 혁신
    • 강성훈스튜디오랩 대표
  • 11:10 - 11:35Session 3
    웍스아웃: 매스가 아닌 '서브컬처'에서의 스케일업
    • 강승혁웍스아웃 대표
  • 11:35 - 13:50Lunch Break
  • 13:50 - 14:10Tech Talk 2
    Experience 3.0: 데이터 기반 개인화, 고객 경험의 게임 체인저
    • 서광덕씽킹데이터 코리아 지사장
  • 14:10 - 14:40Session 4
    K뷰티의 넥스트 빅 마켓 : '인도' &'일본 오프라인'
    • 전재훈㈜예스비 CEO
    • 유승완㈜블리몽키즈(마카롱) 대표이사
  • 14:40 - 15:05Session 5
    앳홈: '빠른 성장'과 '지속가능한 브랜딩' 사이에서 고민하고 성장하는 법
    • 나세훈앳홈 디자인&커뮤니케이션 총괄이사
  • 15:05 - 15:25Tech Talk 3
    글로벌 커머스 재무의 미래
    • 한승호포트원(PortOne) CSO
  • 15:25 - 16:15Coffee Break
  • 16:15 - 16:45Session 6
    시간이 흐를수록 빛이 나는 브랜드들
    • 김재운연세유업 마케팅 실장
    • 계윤숙설빙 상무 마케팅본부장 CMO
  • 16:45 - 17:15Session 7
    소비의 새로운 장르가 된 중고거래
    • 최재화번개장터 CEO
  • 17:15 - 17:35TREND BRIEFING
    2026 글로벌 트렌드 : 가격 전략, 카테고리 전략, 브랜드 전략(리포트 배포)
    • 김소희Daily Trend 대표
상기 프로그램 일정은 변동될 수 있으며, Lunch Break과 Coffee Break 시간에는 우곡회의장에서 이벤트가 열립니다.프로그램 관련 문의: Info@dailytrend.co.kr
Day of
program-accent
10월 23일
  • 9:30 - 10:00Keynote
    디벨로퍼와 광고 비즈니스로 진화하는 리테일
    • 김소희Daily Trend 대표
  • 10:00 - 10:25Session 1
    초(超) 리테일: 백화점을 넘어 '타운'을 개발하는 롯데
    • 진승현롯데백화점 MD본부 Fashion부문장 상무
  • 10:25 - 10:50Session 2
    리테일미디어, 비즈니스 성장의 엔진을 켜다
    • 김상헌GS리테일 플랫폼 BU 마케팅 부문 RM 사업팀 팀장
  • 10:50 - 11:20Session 3
    오프라인 리테일, 미디어가 되다
    • 박지원무신사 오프라인 비즈니스 총괄
    • 김성순Cushman & Wakefield 코리아 부대표
  • 11:20 - 11:45Session 4
    깊이있는 인사이트, 딥데이터가 답하다
    • 최인수마크로밀엠브레인 대표
  • 11:45 - 14:00Lunch Break
  • 14:00 - 14:40SPI 특별 그랜드 세션
    program-tag-keynote
    "리테일 컨버전"
    • 고병기SPI 편집장 / 콘텐츠 부문
  • 토론패널
    • 강정구
      GRE파트너스자산운용 대표
    • 진원창
      (주)알스퀘어 부동산투자개발부문 빅데이터컨설팅 실장/이사
    • 현준호
      롯데AMC 리츠사업부문 부문장
    • 권순일
      이지스자산운용 리얼에셋부문 커머셜 사업실 상무
  • 14:40 - 15:05Session 5
    브랜드에 최적화된 상권과 출점 기회를 발견하는 법
    • 송훈석스타벅스코리아 신규개발팀 파트장
  • 15:05 - 15:30Session 6
    성수 'LCDC 서울': 패션 기업이 공간을 운영하는 방식
    • 강민정(주)에스제이그룹 InC 부문 전무
  • 15:30 - 16:20Coffee Break
  • 16:20 - 16:45Session 7
    지속가능한 상업시설: 개발 이후 '운영력'을 위한 전제들
    • 권성희YTN 경영관리본부 국장
  • 16:45 - 17:10TREND BRIEFING
    2026 글로벌 트렌드 : AI가 유통과 부동산 비즈니스를 어떻게 혁신하는지(리포트배포)
    • 김소희Daily Trend 대표
상기 프로그램 일정은 변동될 수 있으며, Lunch Break과 Coffee Break 시간에는 우곡회의장에서 이벤트가 열립니다.프로그램 관련 문의: Info@dailytrend.co.kr
ticket-info
판매기간: 8/29(금) ~ 10/19(일)
앞으로 4일 뒤에 판매가 종료돼요!